말레이시아 생활환경
말레이시아는 여름철 짧고 시원한 옷만 필요하다고 생각하실수도 있지만, 사무실, 호텔, 레스토랑, 학교 등에서는 강력한 냉방시설이 되어있기 때문에 얇은 긴 소매 재킷(바람막이), 가디건, 긴 소매셔츠 등을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학부모님들께서 말레이시아에 아이들을 유학보내실 때 의복 문제이실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말레이시아는 저희가 잘 알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들이 다 입점해 있으며, 1년에 2차례 70%이상의 메가세일과 50%세일이 자주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의복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의 면제품 품질은 세계 최고입니다. 속옷과 양말 수건등 한국과 같은 품질을 찾으신다면 비쌀 수 있습니다. 이 물품들은 한국에서 미리 준비해 가시기 바랍니다.
말레이시아의 주거 형태는 아파트와 콘도미니엄, 링크하우스, 단독주택(방갈로), 레지던스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 학생들은 기숙사와 홈스테이가 추가되겠네요.
말레이시아의 아파트는 한국에서의 개념과 달리 개인에게 분양하는 목적이 아닌 임대를 목적으로 지은 공동주택으로 주로 서민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반면 콘도는 단지가 크고 수영장, 헬스장, 사우나 등의 부대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면적이 큰 편입니다. 보통 13 ~30층 규모의 2 ~4동 정도 규모로 구성되며, 각 단지마다 경비시설 및 주차관리는 아주 잘 되어있습니다. 편안한 주거환경과 다양한 부대시설 그리고 안전한 치안 등 장점이 많으나, 1-2개월의 단기 계약은 어렵고, 최소 6개월 이상의 장기계약을 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며, 외국인에게는 많은 보증금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인들에게는 생소한 주거형태인 링크하우스입니다. 링크하우스는 개인사업자들이 주택단지를 조성하여 같은 면적, 같은 인테리어로 단독주택 단지를 조성하는 것입니다. 링크하우스는 집들이 일렬로 늘어서옆집과 연결되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따라서 링크하우스는 집의 앞과 뒤쪽만 창이 있고, 양 옆쪽에는 창이 없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이런 링크하우스 중에서도, 3방면이 독립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있는데 현지에서는 세미디(Semi-d) 하우스라 부릅니다. 예전에는 주로 링크하우스의 맨 끝에 위치해 있는 코너유닛을 세미디라고 많이 하였는데, 요즘에는 링크하우스계획 초기부터 세미디단지가 조성되어 있기도 합니다. 요즘은 2층과 3층 링크하우스가 대세이며, 월 렌트비는 평수에 따라 평균 40~100만원 전후로 임대 가능합니다.
방갈로 하우스는 한국의 중, 대형의 단독주택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원과 주차 공간, 수영장이 딸린 2층 또는 3층으로 된 주택이며, 한국의 전원주택처럼 조용하고 전망이 좋은 곳에 조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100 ~ 150평 규모로 고급주택들이 많습니다.
레지던스는 간단한 취사시설과 편리한 부대시설을 갖춘 장기 체류에 적합한 주거 형태입니다.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단기 렌트가 가능한 콘도미니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요즘은 말레이시아 조기유학, 부모님 동반유학을 고려하시고 계시는 어머님들께서 말레이시아 이민 전에 고급 레지던스에 머무시면서 말레이시아를 알아가는 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하고 계십니다.
체리유학원 “말레이시아 한달 살아보기 프로그램” 바로가기한방에 2-3인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1인이 사용하는 Single room도 있습니다. 방에는 각자의 침대와 책상, 옷 장 등이 있으며 화장실, 부엌, 휴게실 등은 공동으로 사용한다. 상당수의 대학에는 기혼자를 위한 교내 아파트도 있습니다. 일부사설이 제공하는 기숙사는 대학 캠퍼스내의 전통적인 기숙사와는 다른 형태의 기숙사인 겨우도 있으므로 확인해야 합니다. 식사는 학교나 기숙사 구내식장을 이용해야 하므로 한국음식을 직접 해먹기는 어렵습니다. 같은 방에서 외국인 친구와 함께 지내어 영어 사용에 유리하나 문화적 차이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숙사 규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현지 한국인 가정 또는 전문 홈스테이 가정에서 함께 생활하며, 방 크기에 따라 1인실부터 4인실 까지 다양합니다. 학교까지는 스스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통학해야 하거나, 전문 홈스테이 가정에서는 학교까지 샌딩&픽업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통학거리는 평균 3-40분 거리, 식사는 아침, 저녁이 제공됩니다. 좋은 홈스테이를 경험을 하려면 가족 구성원의 일원처럼 각 가정의 규칙과 방식을 잘 따르고 같이 지내는 가족과 친구들을 존중해야 합니다. 전문 홈스테이 가정에 머무실 경우, 한국인에게 잘 맞는 식단이 제공되며, 학습 관리 및 입시 상담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는 크게 Celcom, Maxis, Digi, Umobile 통신사가 있으며 요금은 선불요금제와 후불요금제가 있습니다. 선불요금제는 미리 요금을 충전하여 사용하시는 것이며, 후불요금제는 한국과 동일하게 사용 후 요금을 지불하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말레이시아로 여행가시는 분들은 로밍보다 훨씬 저렴한 여행자 유심을(사용 기간이 정해져 있는 유심)구매하셔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로밍 하루 요금으로 현지 유심을 구매하시면 1주일 동안 데이터, 국제전화, 현지통화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 현지 이주/이민하시는 분들은 현지 핸드폰을 개통하시면 훨씬 더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지 핸드폰 개통 서비스 또한 저희 체리유학원 이주/이민 정착서비스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든 업무는 평일 8시간 근무제이며 토요일은 반나절 근무, 일요일은 휴일입니다. 그러나 클란탄, 트렝가누, 케다주는 금요일에이 휴일이며 목요일은 반공휴일입니다. 관공서는 평일에는 오전 8시에서 오후 4시 15분까지, 클란탄, 트렝가누, 케다주의 경우는 목요일 그리고 나머지 다른 주들은 토요일에 오전 8시부터 오후 12시 45분까지 업무시간입니다. 백화점이나 슈퍼마켓들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 30분 또는 10시까지 오픈합니다.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사설 환전소를 제외한 공식적으로 가장 저렴하게 돈을 인출할 수 있는 방법은 우리 은행 "우리 ONE 체크카드 (EXK)"입니다. 우리은행 ONE 체크카드의 특징은 1. 해외 예금 인출시 자동 환율우대 30%, 2. $300이상 인출시 인출수수료 500원 (이하는 1,000원) 무엇보다도 현지 RHB은행, CIMB은행, HongLeong은행 ATM과 연계하여 말레이시아 전역에서 편리하게 인출하실 수 있습니다. (시티은행 시티체크카드는 사용할 수 있는 지점이 많지 않아 불편합니다. 수수료를 저렴하게 이용하려면 시티은행 ATM에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택시비가 더 많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는 공공 의료 체계와 민간 의료 체계의 두 가지를 다 갖추고 있지만 외국인의 경우 공공 의료 서비스를 받기는 쉽지 않습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병원들은 주로 말레이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무상 또는 아주 적은 비용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응급환자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말레이시아 신분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외국인들은 민간 의료 체계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아서 대형병원보다는 거주지 인근의 클리닉을 이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말레이시아 이주 시 가까운 동네병원을 단골로 정해두시면 감기 같은 가벼운 증상들이 발생하였을 때. 이용하시기 편리합니다. 말레이시아 의사들은 외국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가 많아 영어로 의사소통 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의료수준은 높은 수준입니다. 외국인 뿐 아니라 말레이시아 인들도 편리성이나 의료수준 등의 이유로 민간병원을 찾고 있습니다. 많은 수의 민간병원들이 운영되고 있어 비교적 쉽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으로는 암팡 푸트리 병원, 글렌이글스 병원, 판타이 메디컬 센터, 다만사라 스페셜리스트 병원, 센웨이 메디컬 센터, 프린스 코트 병원 등이 있습니다. 이 병원들 모두 외래 환자, 입원환자 진료와 치료뿐 아니라 24시간 응급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